티스토리 뷰
목차
뱅크런 이해하기 - 원인부터 결과까지
금융 초보자분들을 위해 오늘은 '뱅크런'이라는 주제로 포스팅을 하고자 합니다. '뱅크런', 어디서 많이 들어본 단어지요? 아마 경제에 조금이라도 관심이 있는 분들은 뉴스에서 가끔씩 들어보셨을 겁니다. 뱅크런이 무엇이고 왜 일어나는지, 그리고 뱅크런이 우리 일상생활에 어떤 영향을 끼치는지 쉽게 풀어서 설명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뱅크런이란?
뱅크런이란 갑자기 많은 사람들이 동시에 은행에서 자신의 예금을 찾아가는 현상을 말합니다. 한마디로, 사람들이 은행에 저축해돈 돈을 다시 뺀다는 것입니다. 이렇게 되면 은행은 금액을 지급하기 위해 예금을 현금화하려고 하지만, 모든 예금자가 동시에 돈을 찾아가면서 은행 자체의 유동성이 결핍되는 문제가 발생하게 됩니다.
뱅크런이 발생하면 은행은 자금을 충분히 보유하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고객의 예금을 전액 지급할 수 없게 됩니다. 이로 인해 최악의 경우 은행이 파산까지 도달할 수 있습니다.
berrypie://EventDetail?key=2ECF5BE99ED44535806EDB48DBF49BB7&index=1
뱅크런이 발생하는 이유
뱅크런은 주로 은행이나 금융기관에 대한 신뢰성이 크게 떨어졌을 때 발생을 하게 됩니다. 예를 들어서, 은행의 경영 상태가 좋지 않거나, 금융위기 등의 사건이 발생하게 되면 사람들은 자신의 예금이 안전하지 않다는 불안감을 느끼게 됩니다. 이런 불안감이 전체적으로 퍼지면서 사람들이 동시에 은행에서 돈을 찾아가는 것이죠.
뱅크런이 발생하는 주요 원인들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 은행의 부실 경영
- 경제 불황
- 전쟁
- 자연재해
- 고객의 불신
뱅크런이 미치는 영향
뱅크런이 일어나면, 일단 은행 자체에 큰 충격이 가게 됩니다.은행은 일시적으로 현금 부족에 직면하게 되고, 이로 인해 은행의 운영에 매우 큰 어려움이 생기게 됩니다. 또한, 뱅크런이 계속된다면 최악의 경우 은행은 파산하게 됩니다. 이로 인해 해당 은행의 고객들은 자신의 예금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그리고 이런 상황은 금융 시스템 전체에 위험을 초래하며, 경제 전체에도 부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의 뱅크런은 2011년 2월 부산2저축은행에서 발생한 적이 있습니다. 결국 영업정지 처분을 받아 파산하고 말았습니다. 은행의 과실로 인해 뱅크런이 발생했을 경우, 해당 은행은 거의 100% 파산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최근에는 미국에서도 SVB와 퍼스트 리퍼블릭에 뱅크런 사태가 발생하고 두 은행은 결국 파산하며 SVB는 퍼스트 시티즌스에, 퍼스트 리퍼블릭은 JP 모건에 인수되었지요.
美 퍼스트시티즌스 은행, 파산 SVB 인수…모든 예금·대출 포함 | 연합뉴스
(서울=연합뉴스) 이도연 기자 = 미국 중소은행인 퍼스트 시티즌스 뱅크셰어스(이하 퍼스트 시티즌스)가 파산한 실리콘밸리은행(SVB)을 인수한다.
www.yna.co.kr
퍼스트리퍼블릭, 결국 JP모건에 인수
미국 내 자산 규모 1위 은행인 JP모건체이스가 파산 위기에 놓인 퍼스트리퍼블릭은행의 자산 상당수와 부채 일부를 인수한다.JP모건은 1일(현지시간) 보도자료
news.kmib.co.kr
뱅크런 대처 방법
뱅크런을 막는 가장 기본적인 방법은 은행의 안정성을 유지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각국의 중앙은행이나 금융감독 기관은 은행의 자보비율, 유동성, 리스크 관리 등을 철저히 감시하고 조절합니다.
또한, 예금보험제도가 뱅크런을 막는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예금보험제도는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고객의 예금이 일정액까지 보장된다는 제도입니다. 이로 인해 고객들은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자신의 돈을 잃지 않을 것이라는 안정감을 얻게 되며, 이는 뱅크런을 방지하는데 크게 기여하게 됩니다.
우리나라는 은행들의 예금보험 금액이 5천만 원 수준입니다. 은행이 파산하더라도 개인은 최소한 5천만 원까지 보장받을 수 있다는 것이죠.
뱅크런에 대한 대응으로 정부와 개인은 다음과 같이 대처할 수 있습니다.
정부
- 은행에 자금 지원
- 파산을 막기 위한 법률 제정
- 고객의 예금 보장
개인
- 예금을 다른 은행으로 옮기기
- 예금을 현금으로 보관
- 정부의 예금 보장 제도 이용
마무리
뱅크런은 금융시장에 큰 충격을 주는 현상이지만, 각국의 중앙은행이나 금융감독 기관, 그리고 은행 자체의 노력을 통해 이를 예방하고 관리하려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습니다. 금융 용어가 낯설게 느껴지는 분들도 이제는 '뱅크런'이 무엇인지 쉽게 이해하셨을 것이라고 생각됩니다.